ENN
[Spring boot] Spring project의 폴더 구조 본문
스프링부트는 다양한 레이아웃이 가능하지만 보편적으로 아래 그림과 같은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설계한다.
이에 따른 doodle의 디렉토리 구조이다.
1. src/main/java
자바(.java) 파일이 모여있는 곳으로, 스프링부트가 MVC 패턴의 서블릿 구조를 잡아주기 때문에 따로 서블릿을 만들 필요 없이 스프링 구조에 맞게 패키지와 클래스 파일들을 생성해 작성하면 된다.
기본적으로 controller, service, dao가 여기에 포함된다.
2. src/main/resources
자바 클래스에서 사용하는 리소스들을 보관하는 곳이다.
DB 연결을 위한 자원, 의존성 주입을 위한 xml 파일 등 자바 코드 외 모든 자원은 이곳에 넣어주면 된다.
3. build.gradle
pom.xml에 여러 개의 dependency를 추가해서 라이브러리를 관리하는 방식의 Maven 대신,
단 한 줄의 코드로 라이브러리를 추가할 수 있는 gradle을 사용했다.
(Maven은 하나의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려면 평균적으로 네 줄 이상의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사진 출처)
'백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에러 응답 코드 (0) | 2022.09.20 |
---|---|
[Mybatis] @RequestParam 사용하기 (0) | 2022.09.20 |
[MySQL] 데이터베이스 컬럼 데이터 타입 선택하기 (0) | 2022.09.19 |
[Spring] "redirct:/"와 "view이름" retrun의 차이점 (0) | 2022.09.19 |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 (0)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