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ENN

HTTP 에러 응답 코드 본문

백엔드

HTTP 에러 응답 코드

s_eonxx 2022. 9. 20. 08:18

doodle 개발 중 자주 보이는 에러들을 정리했다.

 

 

1. 4XX

클라이언트 오류로 해당 요청이 올바르지 않다는 의미이다.

 

400 Bad Request(잘못된 요청) : 요청 자체가 잘못되었을 때 사용하는 코드이다.

BadRequest(400) : 이미 친구(Type 1)인 경우

BadRequest(400) : request body 값이 잘못된 경우 (이메일과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401 Unauthorized(권한 없음) : 인증이 필요한 리소스에 인증 없이 접근할 경우 발생한다. 이 응답 코드를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브라우저에 어느 인증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 보내야 한다.

Unauthorized(401) : 로그인 하지 않고 요청 시

 

403 Forbidden(거부됨) : 서버가 요청을 거부할 때 발생한다. 관리자가 해당 사용자를 차단했거나 서버에 index.html이 없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혹은 권한이 없을 때(로그인 여부와는 무관)에도 발생한다.

Forbidden(403) : 로그인은 했으나 다른 회원의 friends 요청 시

 

404 NotFound(찾을 수 없음) : 찾는 리소스가 없다는 뜻이다.

NotFound(404) : 존재하지 않은 userId 요청 시
NotFound(404) : 존재하지 않은 userId에 친구 요청 시
NotFound(404) : 존재하지 않은 friends id 요청 시 

 

 

2. 5XX

서버 오류로 서버가 응답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요청이 올바른지의 여부는 알 수 없다.

 

500 Internal Server Error(내부 서버 오류) : 서버에 오류가 발생해 작업을 수행할 수 없을 때 사용된다. HTTP 요청을 통해 호출한 문서가 실제 HTML 문서가 아니라 JSP, PHP, 서블릿 등의 프로그램일 경우 그 프로그램이 동작하다 ;가 없는 등의 각종 에러로 비정상 종료를 하는 경우에 이 응답코드를 보낸다.

 

502 Bad Gateway(게이트웨이 불량) : 게이트웨이가 연결된 서버로부터 잘못된 응답을 받았을 때 사용된다.